IT 프로그래밍/백준 문제 풀기
백준 1000번
mjmjpp
2024. 1. 5. 22:08
답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+b)
쓰인 함수 정리
# map(함수명, 리스트 이름)
: 리스트 값 하나하나를 함수명에 대입
문자열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숫자로 변환하기 위해
BEFORE = ['2019' , '12' , '31']
AFTER = list ( map ( int,BEFORE))
AFTER
[2019, 12, 31]
▶️ int () 함수의 이름을 map()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
= [int('2019'), int( '12') , int('31')] 와 같은 효과를 갖게 됨.
결과값을 다시 list () 함수를 사용해서 리스트 형태로 변환
2.split()
: 문자열을 공백이나 다른 문자로 분리해서 리스트를 반환
+splitlines() : 행 단위로 실행
Ex.
ss = ' 파이썬을 까먹은 감자 입 니 다.'
ss.split()
값
['파이썬을', '까먹은', '감자', '입', '니', '다.']
▶️ 띄어쓰기 바탕으로 문자 분리
ss = ' 감:자'
ss.split(:)
[' 감', '자']
▶️ 괄호 안에 : 기호 포함으로 해당 기호를 기준으로 분리됨을 파악!
input().split()
: Function Chaining [ 하나의 표현식에서 메서드나 함수를 연속적으로 호출]
: input() 함수 결과에 .split() 함수로 바로 호출
=입력 받고 문자열을 공백 기준으로 나눔 -> list 에 저
[출처] [백준][파이썬] 1000번 _오답노트|작성자 갱림
#
a, b, c = map(int,input().split())
print(a+b)
에서 여러개의 변수를 입력할 때 구분은 공백으로 처리해준다.